브랜드/마케팅/세일즈

'단숨함의 원리', By 잭트라우트,스티브 리브킨

Edvert 2010. 1. 26. 20:44

단순함의 원리

잭 트라우트 지음 | 김유경 옮김
21세기북스 2001.04.20
평점

1. 책에 대해

문제 해결에 있어서 장애가 생겼을 때나 기회의 돌파구를 마련할 때, 우리는 심심치 않게 기본으로 돌아가란 말을 한다. 허황되고 장황한 생각, 표현이 아니라 그 문제의 본질과 핵심으로 돌아가 본연의 모습을 보란 말일 것이다. 장황하고 복잡한 미사여구 대신 쉽게 납득할 뼈가 있는 한마디, 생각과 마음에 쉽게 와 닿을 수 있는 단순함을 통해 경영과 마케팅의 본연의 자리를 찾아감을 다양한 사례와 함께 보여주는 책이다.

2. 꼭 기억하고 싶은 구절

P.18 문제는 우리가 혼자 힘으로 매사를 생각하기보다 타인의 사고에 의존하는 데 길들여져 있다는 것

P.19 생각한다는 것이 힘든 일이기도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그 행위 자체를 두려워한다.

P.21 단순함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선택 대안들을 좁히고 외길을 타야 한다.

P.21 거물급 인사에 대해 의심을 품는다든지 위대한 아이디어라고 생각하는 것에 도전하는 것을 두려워한다.

P.22 자연스런 두려움들을 다루는 최상의 방법은 무엇일까? 먼저 그 문제에 집중하는 것이다.

P.24 단순함을 두려워하는 사람들에게 진정 필요한 치료약은 상식이다. 상식은 모든 사람이 공유하고 있는 지혜이다. 그것은 어떤 사회에서든 분명한 진리다.

P.34 가장 기억할 만한 것들은 가장 짧은 것

P.38 명쾌한 작문을 위한 다음의 10가지 원칙

 1. 문장을 짧게 써라.

 2. 복잡한 단어보다는 단순한 단어를 선택하라.

 3. 친숙한 단어를 선택하라.

 4. 불필요한 단어는 피하라.

 5. 동사를 활용하라.

 6. 말하듯이 써라.

 7. 읽는 사람들이 상상할 수 있는 용어들을 사용하라.

 8. 읽는 사람의 경험과 연결시켜라(포지셔닝의 본질)

 9. 다양성을 최대한 이용하라.

 10. 감동을 주기보다는 표현하기 위해 글을 써라.

P.41 첫 인상을 의심하지 마라. 대부분의 경우 첫인상이 가장 정확하다.

P.67 기업은 경쟁자의 입장에서 약점을 찾고 그 약점들에 대한 마케팅 공격을 시작해야 한다.

P.83 방법도 제시되지 않은 어떤 계획이 당신의 책상에 올라 온다면 그것을 돌려보내라.

P.105 과거의 기회가 아니라, 현재의 기회가 있는 곳에 당신의 돈을 사용하라.

P.128 사명서의 유일한 목적은 그 기업 내의 모든 사람이 분명히 그것을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다.

P.136 진정한 전문가는 결코 해야 한다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훌륭한 제안에 대한 그의 반응은  그것을 합시다이다.

P.145 경향을 추정하는 것만큼이나 나쁜 것은 미래가 과거의 재현이 될 것으로 추측하는 일반적인 습관이다.

P.147 시장에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한 시장 조사를 할 수 없다는 잘 알려진 사실에도 불구하고 조사자들은 밖에 나가 사람들에게 물었다.

P.170 기회들은 기회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발견하기 어렵다.

P.170 마케팅의 성공에서 중요한 측면은 아이디어와 전략 그 둘 사이의 관계이다.

P.187 성장이란 매사를 정확하게 함으로써 생기는 부산물이다.

P.221 성공은 예상치 않은 기회에 어떻게 반응하는가에 달려 있다.

P.243 아이디어가 한 페이지로 표현될 수 없다면 그것은 아마도 결함이 있을 것이다.

P.247 그는 원하는 것을 원하는 시간에 한다. 그것이 바로 단순함의 위력이다.

3. 나의 생각

왜 이렇게 복잡하고 어렵게 살아야 될까? 대학 = 쉬운 것을 어렵게 배우는 곳. 교수 = 쉬운 말을 못 알아먹게 말하는 사람이란 소리도 있다. 의견을 전달할 때 꼭 어렵고 다양한 말로 표현을 해야 하는것일까? 쉽게 말하며, 의미를 잘 전달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어제 스피치 강연에서 오바마 대통령이 당선 된 이유로, 서민들과 초등학생까지 쉽게 알아들을 수 있도록 쉬운 말로, 의미를 잘 전달했기에 많은 사람들에게 쉽게 공감대를 형성하여, 권위적인 말투의 매케인을 이기고 대통령에 당선될 수 있었다고 했다. 단순함을 보지 못하고 말하지 못하는 것은 남에게 무시 당할 것 같아서, 권위를 드러내려는 외부 환경적 요인 때문에 두려워서라고 하는데, 이런 주변의 요소에 좌우 되기 보다는 본질과 기본에 다가가는 단순함의 힘에 빠져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