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상상하여 창조하라', By 유영만

Edvert 2010. 1. 26. 20:47

상상하여 창조하라

유영만 지음
위즈덤하우스 2008.06.18
평점

1. 책에 대한 나의 생각

틀에 얽매이지 않아야 한다. 제약되지 않아야 한다. 기존의 것만 따라 해서는 안 된다. 나와 다름을 인정해야 한다. 하고 싶은 것을 하게 해야 한다. 생각해야 한다. 상상해야 한다. 그리고 창조해야 한다.

기존의 제약된 삶의 틀을 깨고, 창의적이 혁신을 이루어 나갈 때 그간의 평이한 인간의 삶에 진일보 할 수 있는 촛불이 될 수 있다. 나도 창의적이고 싶고, 창조 하고 싶고, 아마 우리 모두들 그런 욕망은 다들 가지고 있을 것이다. 단지 그런 눈에 드러나는 창의적 인간은 별로 없다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다. 한편으로는 그렇기에 세상은 돌아가고 있지 않나 생각도 해본다. 누구나 창의적이고 새로운 것을 추구하며 다르고, 혁신적으로만 삶을 추구해 나간다면 그것 또한 너무 어지러울 것 같기도 하다. 어쩌면 그 소수에 의한 혁신이 이루어 지는 삶의 테두리가 또 하나의 삶의 순리가 아닐지………

 

이 책은 다른 책들에도 많이 나오는 창조를 해야 하는 이유와 방법에 관련된 좋은 글귀와 사례들이 많이 담겨 있다. 그런데 사실 이러한 것들 보다는 단 하나의 창의성을 이끄는 방법이라도 그 방법과 예시를 접하고 난 후 난 어떠 어떠한 변화가 생겼고, 어떠한 창의적인 생각이 들었으며 실행을 통해 어떠한 결과를 얻었다.와 같은 저자의 경험들이 담겼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생각 든다. 단순히 남의 좋은 말만 가득 들으며 흘러 가기 보다는 책에 그 과정을 모두 담을 수 는 없다 하더라도 그 과정을 따라가 봄으로써 좀 더 현실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어린 시절부터 2*2 = 4라는 것은 배웠어도, 2*2 4 라는 과정은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하나 안타까울 점은 물론 나 자신도 비슷하겠지만, 

예를 들어 1000의 지점을 가진 A라는 은행이 있고 어떤 지원자가 100개의 은행을 돌며 지점장을 만나 명함을 받고는 매일 연락을 드려서 그 열의에 A라는 은행에 합격했다.

간혹 이런 독특한 이력과 함께 원하는 회사에 합격된 사람이 있다.

대부분은 이러한 글을 보면 뭐라고 느낄까?

, 대단하네, 그 애는 그 애니까, 도서관이나 가자, 똑같이 따라 한다고 뭐 되겠어? 다른 스펙도 뛰어날 거야 아마 이렇게 생각만 하고 감탄만 하고 끝나는 것이 전부가 아닐까?

 

세상에 했다더라는 정말 많다. 하지만 정작 내 손과 발로 이루어 나가는 내가 한다는 너무나 적은것 같다. 내가 한다, 내가 이루어 나간다,를 향해 작지만 한 발을 움직여 보는 것은~~~~

2. 꼭 기억하고 싶은 구절

P.9 미친 짓 이라고 비난하는 사회적 홀대와 무관심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이 옳다고 믿는 신념을 무기로 매진할 수 있었던 광기입니다. 그 광기에는 남다른 문제의식과 결코 포기하지 않는 불굴의 의지 그리고 지칠 줄 모르는 열정이 함께 담겨 있습니다.

P.34 상상과 창조에 대한 그릇된 고정관념과 신화적 사고를 파괴하기 위해서는 우선 본질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있어야 한다.

P.37 개념을 습득하는 유일한 방법은 다양한 생각과 의견, 낯선 자극과 경험에 의도적으로 자신을 노출시키는 것이다.

P.52 아무리 어려운 글이라도 반복해서 읽으면 언젠가 그 뜻을 알게 된다는 독서백편의자현과도 같은 의미

P.52 깨우침 없이 무조건 읽기만 하면 아무 소용이 없다.

P.84 구현하고자 하는 꿈이나 비전의 방향을 추상적 언어로 생각하지 말고 구체적인 언어로 상상하면 그리움의 대상은 반드시 현실로 나타난다.

P.99 관찰은 눈에 보이는 것을 보고 들으면서 눈에 보이지 않는 미지의 세계를 낚아채는 낚시다.

P.104 사람에게 감동을 주려면 발로 써라라는 원칙을 철저히 지킴 <식객_허영만>

P.118 가던 길을 멈추고 노을 진 석양을 바라보며 감탄하기에 가장 적당한 순간은, 그럴 시간이 없다고 생각하는 바로 그 순간

P.142 나는 퓰리처상을 받을 것이다! 이처럼 매번 생각으로 그치지 말고 자신의 꿈이 무엇인지 선명하게 그려보라. 자기 최면을 걸 듯 쉬지 않고 꿈을 되새기며 이를 향한 여정을 포기하지 않을 때 꿈은 반드시 이루어진다.

P.160 세계가 원래 사각형인 것이 아니라 우리가 세계를 받아들이는 방식이 사각형이다.

P.199 낯익은 것을 낯선 것으로 바꾸어 생각하는 동질이화의 과정을 시넥틱스

P.209 좌우지간 저질러라. 실패로부터 얻는 교훈은 그 어떤 가르침보다 위대한 스승이다.

P.216 실패는 승리의 면류관이다! 실패를 정직하게 고백하고 자신과의 대화를 통해 실패 이력서를 작성해보자. 실패 리스트를 작성한 뒤 그때의 상황을 떠올려 실패의 원인과 교훈을 구체적으로 기록한다.

P.246 학습을 통해 자신만의 사고의 집에서 나와 다른 언어를 사용하며 다른 방식으로 세계를 바라보는 연습을 끊임없이 해야 한다.